본문 바로가기
미디어영상

PPL 이란 무엇인가?

by mk정 2012. 4. 17.
반응형

PPL 이란 무엇인가?

1. PPL: 일정한 대가를 지불하고 영화나 드라마의 콘텐츠에 특정 제품이나 드라마를 삽입하는 형태로,

영상매체 속에 상품을 자연스럽게 등장시켜 관객들의 무의식에 상품의 이미지를 심어 주는 간접 광고 기법

 

2. PPL의 시작:

1) 1945년 미국 워너브러더스가 제작한 느와르 영화 [밀드레드 퍼스]에서 나온 버번 위스키가 최초

2) 의도적으로 사용된 본격적인 PPL: 1982년 개봉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[ET]에 등장한 M&M 사의

초콜릿 캔디. (영화 개봉 3개월 만에 무려 66%의 매출 신장을 기록의 효과를 증명)

3) 한국영화 PPL: 신씨네 기획 <결혼 이야기> 효시

진로 쿠어스 <구미호> 1994년 본격적인 PPL시대 열림

 

PPL의 장점:

1) 극의 현실감을 높여주는 역할로 관객들에게 자연스럽게 브랜드 수용도를 높일 수 있다.

(직접광고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약점 광고에 대한 낮은 신뢰도와 수많은 광고물로 인한 심리적 거부감)

2) 극의 몰입으로 인한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효과적이다.

3) 세계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글로벌 기업의 경우에 PPL은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.

4) 마지막으로, 재정조달의 측면을 담당할 수 있다.

 

4. PPL의 단점:

1) 영화나 드라마의 콘텐츠와 간접 광고로서의 PPL이 자연스럽게 어울리지 못할 경우,

- 수용자 / 관객의 거부감을 일으켜서, 영화와 PPL 상품 모두에게 악영향.

예) <고질라> 동원참치 캔, <내 여자 친구를 소개합니다>

2) 영화 예술의 순수성 저해 문제를 들 수 있다.

(1) 마이클 제이콥스: 예술로서의 영화의 지위에 대해 심각한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

(2) 광고의 개입으로 인해 원래 텍스트에 심각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.

(3) 광고주의 과도한 개입으로 경제적 이윤 창출에만 초점이 맞추게 될 가능성

예) <캐스트 어웨이> 톰행크스 페덱스 직원으로 등장 2시간 30분 중 70분 이상 노출로 성공

 

5. 현대사회에서 PPL의 중요성 - 삼성

1) 2002년 <스파이더 맨> 빌딩광고주의 소송: 삼성전자 → USA 투데이

삼성의 첫 번째 기획상품은 <매트릭스 2 : 리로디드> - 메트릭스 폰

2) <말아톤> : SK 텔레콤 (춘천마라톤대호 후원자) - 우연 노출

 

-영화산업과 마케팅에서-

반응형